식재료 보관방법
- 온도 -
1. 식품은 식품표시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보관 방법 및 저장방법에 맞게 보관합니다.
2. 서늘한 곳 보관제품, 실온, 상온 제품은 습도, 직사광선 등에 의해 변질이 일어나지 않는 수준으로 보관하고 하절기에는 냉장보관을 권장합니다.
3. 보관적정온도 - 냉동제품(-18℃이하), 냉장제품(0~10℃), 실온보관식품(1~35 ℃), 상온보관제품(15~25 ℃), 건냉소 냉암소, 서늘한 곳(0~15 ℃)
- 식품별 냉동·냉장고 보관, 관리 방법 -
1. 냉기 순환을 위해 식품의 양은 냉장고의 70% 이내로 보관합니다.
2. 냉동 보관할 조리식품은 냉동실 상단 보관, 냉동 보관할 육류 ·어패류는 냉동실 하단 보관, 생선 핏물은 생선을 상하게 하므로 씻어 보관합니다.
3. 냉동실 문쪽은 온도 변화가 심하므로 잘 상하지 않는 식품을 보관, 냉동실 안쪽은 온도 변화가 심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보관할 식품을 보관합니다.
4. 냉장 보관할 조리식품은 냉장실 상단 보관, 달걀은 뚜껑 있는 용기에 보관, 금방 먹을 육류 ·어패류는 냉장실(신선실) 보관, 어패류는 씻어서 밀폐용기에 보관합니다.
5. 채소 ·과일은 흙, 이물질 제거 후 보관, 채소는 씻어서 밀폐용기에 보관합니다.
주의사항
온도 조절(냉장보관 냉동보관), 습도 관리(채소나 과일 보관시 적절한 습도 유지), 공기 밀폐(산소와의 접촉 최소화), 교차 오염 방지(육류와 식물성 식재료 분리 보관), 유통기한 확인(유통기한을 주의 깊게 확인), 신선도 유지(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어두운 곳을 선택하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 유지), 보관 후 감별(보관 후에도 신선도를 확인하고 변질이나 오염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기)
식품을 구입해 잘 못 보관하거나 오래 되면 곰팡이가 생기게 됩니다. 곰팡이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신선한 식품을 조금씩 구입해 먹는 것이 가장 좋고 곰팡이 번식을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냉장고 전체를 청소해주어야 합니다.
냉장고 보관을 피해주세요.
1. 감자 - 냉장고 속에서 녹말 성분이 빠르게 당분으로 변해 감자 특유의 풍미가 없어짐. 냉장 보관 시 '아크릴아마이드'라는 환경유해물질이 생성되는데 많이 섭취 시 신경계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위험함. 씻지 않은 상태로 종이 상자에 넣어 시원하고 빛에 노출되지 않는 서늘한 곳에 보관(사과와 함께 보관하면 사과의 에틸렌 가스가 감자 싹이 나는 것을 억제해 준다고 함).
2. 수박 - 자르지 않은 수박을 통째로 냉장고 보관 시 항산화 성분이 빠지고 빨리 썩음. 과육을 잘라 뚜껑 있는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
3. 마늘 - 냉장고 속에서 곰팡이나 독소가 생김. 냉장고 습기를 흡수하여 물렁물렁해짐. 까지 않은 마늘은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다진 마늘은 실온이 아닌 냉동보관).
4. 오이 - 쉽게 물러지고 곰팡이가 생김(적정온도 10~12℃).
5. 토마토 - 냉장고의 찬 공기는 토마토의 껍질이 두꺼워져 식감을 질겨지게 하고 토마토의 영양분까지 파괴. 단맛과 신맛이 감소하여 맛이 떨어짐. 바구니에 담아 서늘한 그늘에 보관.
6. 빵 - 빵은 냄새를 흡수하는 특징이 있어 냉장고에 넣으면 냉장고 속 여러 음식 냄새가 흡수. 탄무화물이 급속도로 결정화되어 딱딱해짐. 실온에 두고 1~2일 이내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음. 빵이 남았거나 장기 보관 시 밀봉하여 냉동실에 보관.
7. 양파 - 양파의 수분 때문에 금세 물러지고 곰팡이가 생김.
8. 바나나 - 소회 효소를 잃게 됨.
9. 커피원두 - 냉장고 내부의 습도와 온도 변화는 커피 원두에 해로울 수 있으며 냉장고 내부의 다양한 냄새는 커피의 향과 맛에 영향을 줌. 어둡고 서늘한 곳에 보관.
10. 꿀 - 변하지 않는 식품이기 때문에 냉장보관할 필요 없음. 뚜껑을 잘 닫아서 서늘한 곳에서 실온보관.
11. 올리브유 - 8도 이하에서 응결하여 냉장 보관 시 버터처럼 변하게 됨.